2010년, 아이패드가 처음으로 세상에 발표되었을 때만 해도 태블릿은 핫한 물건이었습니다. 이윽고 삼성의 갤럭시탭과 여러 회사의 안드로이드 태블릿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왔습니다. 하지만 6년이 지난 지금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Mobile World Congress)에서는 태블릿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회사와 소비자들은 변해감에 따라 태블릿이 죽게 된 것입니다.
시장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애플은 MWC에 참가하지도 않았습니다. 삼성, 소니, HTC, LG는 새로운 태블릿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컨퍼런스 기간 동안에는 태블릿에 대한 언급조차 없었습니다.
사실 MWC에서 몇 개의 안드로이드 태블릿을 발견할 수 있긴 했습니다. 레노버는 저가 안드로이드 태블릿을 선보였지만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은 듯 했습니다. 화웨이에서는 메이트북이라는 제품을 내놓았습니다만, 엄밀히 따지자면 서피스 프로와 같은 형태로 윈도우 10이 탑재된 랩탑에 가까웠습니다.
이제 태블릿이 대중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200불 미만에 다양한 브랜드의 좋은 안드로이드 태블릿이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브랜드 간에는 딱히 차이점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러한 면에서 태블릿으로 수익을 얻기란 쉽지 않습니다.
또한, 기존의 태블릿 사용자들이 다른 태블릿으로 업그레이드 할 필요가 없습니다. 넷플릭스, 페이스북, 킨들 앱 정도만 잘 돌아가면 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교체 주기가 길어지게 되면서 새로 출시되는 태블릿에는 관심이 없어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핸드폰들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MWC에서 가장 주목받았던 플래그쉽 스마트폰은 LG G5(5.3인치), 삼성 갤럭시 S7(5.1인치)였습니다. 처음에 삼성 갤럭시 노트(5.3인치)가 출시되었을 때는 "패블릿"이라고 불렀습니다. 이제 이정도 크기는 스마트폰의 평균 크기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 "평범한" 스마트폰들은 이제 태블릿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아이패드가 손 뻗으면 닿을 거리에 있으면서도 핸드폰을 훨씬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개의 기기를 다루는 것보다 하나로 모든 걸 해결하는 게 편리하기도 합니다. 읽을 거리가 있더라도 아이폰으로 보게 됩니다. 이제는 작은 키보드에 익숙해져서 포스팅을 할때도 아이폰을 이용합니다.
아이패드는 물론 아직까지 잘 팔립니다. 하지만 애플도 아이폰과 차별화 되는 무언가가 있는 아이패드를 내놓아야 할 상황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진영에서는 Pixel C와 같은 아주 좋은 태블릿을 내놓았지만 태블릿에 최적화된 앱들은 부족하기만 합니다.
태블릿 시장이 살아날 길은 분명히 있습니다. 랩탑의 대체제가 될 수 있고, 디지털 캔버스 용도로 특화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태블릿들에 대한 관념을 깰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할 것입니다.
기사 원문: http://goo.gl/GBH0w0
무단 복사 및 배포 금지
유용한 정보였다면 공감 꾹~ 눌러주세요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프로, 1억 5백만 달러에 영상 편집 어플리케이션 회사 두 군데를 인수 (0) | 2016.03.01 |
---|---|
스냅챗, 피싱 사기로 직원들 정보 유출 (0) | 2016.03.01 |
컴퓨터 공학, 시카고 지역 내 공립학교의 필수과목으로 채택 (0) | 2016.02.25 |
스카이프의 동영상 메신저 퀵(Qik), 서비스 종료 (0) | 2016.02.23 |
테슬라 모터스, 마침내 Tesla.com 소유하게 되다 (0) | 2016.02.21 |